Book Review
[2014/11/16] 작가란 무엇인가 (4)
The uprooted
2014. 11. 16. 11:30
4번으로 나누어 읽은 작가란 무엇인가, 마지막.
"파리 리뷰, 작가란 무엇인가 4"
10. 어떤 것보다 진실한 새로운 것 : 어니스트 헤밍웨이
- 자연주의적인, 또는 폭력적인 사건을 불필요한 수식을 배제하고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하드보일드 문학을 대표
- 서서 글을 쓴다. 처음부터 갖고 있던 글쓰는 습관이다.
- 매우 견고하게 쓰인 글에 대해서는 무슨 말을 하더라도 아무 상관 없지만, 연약하게 쓰인 글은 만일 그것에 대해 말해버리면 그 구조가 깨져서 아무것도 남지 않게 된다.
- 글쓰기는 끝날 때까지 어느 누구도 지켜볼 필요가 없는 개인적이고 외로운 작업
- '무기여 잘 있거라'의 마지막 쪽은 서른아홉 번이나 고치고 나서야 겨우 만족했다.
- 살아남지 못하는 사람들은 항상 더 사랑을 받는다. 왜냐하면 그들이 죽기 전에 해내야 한다고 믿는 것을 하기 위해 길고, 지루하고, 무자비하고, 줄 것도 받을 것도 없는 싸움을 벌이는 것을 보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.
11. 완전한 자유의 증명 : 월리엄 포크너
- 유럽의 모더니즘을 미국 문학에 처음 본격적으로 도입한 작가로 평가받는다.
- 불가능한 일에 얼마나 멋지게 실패하는가를 기초로 우리들을 평가한다.
- 글을 완성하는 데에는 어떤 기계적인 방법도 없으며 지름길도 없다. 이론을 좇아 글을 쓰는 젊은 작가는 바보다.
- 작가는 경험, 관찰, 상상력이라는 세 가지를 필요로 한다. 이 중의 두 가지, 또는 한 가지가 다른 것의 결여를 보충해줄 수 있다.
- 가장 슬픈 일 중의 하나는 사람이 하루에 여덟 시간씩 매일 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이 일이라는 사실이다. 사람은 매일 여덟 시간 동안 먹을 수도, 마실 수도, 사랑을 할 수도 없다. 사람이 여덟 시간 동안 할 수 있는 것은 일뿐이다. 이것이야말로 인간이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사람들을 그토록 비참하고 불행하게 만드는 이유이다.
- 예술가는 비평가 위의 계층이다. 왜냐하면 비평가는 예술가를 제외한 모든 사람을 감복시킬 무엇인가를 쓰는 반면에, 예술가는 비평가들을 감탄시킬 무엇인가를 쓰기 때문이다.
12. 견고하고 단단한 덩어리를 넘어서 : E.M. 포스터
- 소설은 주인공이 다가가야 하는 어떤 것, 즉 어떤 중요한 대상이나 사건이 있어야 한다.
- 경험의 문제에 있어선 시간보다 공간이 중요하다.
- 소설가들은 실제 인물을 모델로 쓰지 않는 척하길 좋아하지만, 누구나 실제로 그렇게 한다.
- 프루스트, 등장 인물의 입장에서 자신을 보는 방식을 배웠다.
---
그 외 몇가지들.
- 낭만주의에서 비롯된 그러한 천재 작가는 실재하지 않는다.
- 20세기와 21세기를 대표하는 소설가들은 인터뷰에서, 자신이 표현하고픈 것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을 때까지 자신의 글을 끊임없이 고쳐 썼다는 것을 누누이 강조한다.
- 작가가 해야 하는 것은 경험한 한정된 세계를 있는 그대로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, 자신이 경험한 세계를 바탕으로 어떤 무엇보다도 완전히 진실하고 새로운 세계를 만들어내야 한다. (사실 그 자체가 아닌 사실의 재현)
"파리 리뷰, 작가란 무엇인가 4"
10. 어떤 것보다 진실한 새로운 것 : 어니스트 헤밍웨이
- 자연주의적인, 또는 폭력적인 사건을 불필요한 수식을 배제하고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하드보일드 문학을 대표
- 서서 글을 쓴다. 처음부터 갖고 있던 글쓰는 습관이다.
- 매우 견고하게 쓰인 글에 대해서는 무슨 말을 하더라도 아무 상관 없지만, 연약하게 쓰인 글은 만일 그것에 대해 말해버리면 그 구조가 깨져서 아무것도 남지 않게 된다.
- 글쓰기는 끝날 때까지 어느 누구도 지켜볼 필요가 없는 개인적이고 외로운 작업
- '무기여 잘 있거라'의 마지막 쪽은 서른아홉 번이나 고치고 나서야 겨우 만족했다.
- 살아남지 못하는 사람들은 항상 더 사랑을 받는다. 왜냐하면 그들이 죽기 전에 해내야 한다고 믿는 것을 하기 위해 길고, 지루하고, 무자비하고, 줄 것도 받을 것도 없는 싸움을 벌이는 것을 보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.
11. 완전한 자유의 증명 : 월리엄 포크너
- 유럽의 모더니즘을 미국 문학에 처음 본격적으로 도입한 작가로 평가받는다.
- 불가능한 일에 얼마나 멋지게 실패하는가를 기초로 우리들을 평가한다.
- 글을 완성하는 데에는 어떤 기계적인 방법도 없으며 지름길도 없다. 이론을 좇아 글을 쓰는 젊은 작가는 바보다.
- 작가는 경험, 관찰, 상상력이라는 세 가지를 필요로 한다. 이 중의 두 가지, 또는 한 가지가 다른 것의 결여를 보충해줄 수 있다.
- 가장 슬픈 일 중의 하나는 사람이 하루에 여덟 시간씩 매일 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이 일이라는 사실이다. 사람은 매일 여덟 시간 동안 먹을 수도, 마실 수도, 사랑을 할 수도 없다. 사람이 여덟 시간 동안 할 수 있는 것은 일뿐이다. 이것이야말로 인간이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사람들을 그토록 비참하고 불행하게 만드는 이유이다.
- 예술가는 비평가 위의 계층이다. 왜냐하면 비평가는 예술가를 제외한 모든 사람을 감복시킬 무엇인가를 쓰는 반면에, 예술가는 비평가들을 감탄시킬 무엇인가를 쓰기 때문이다.
12. 견고하고 단단한 덩어리를 넘어서 : E.M. 포스터
- 소설은 주인공이 다가가야 하는 어떤 것, 즉 어떤 중요한 대상이나 사건이 있어야 한다.
- 경험의 문제에 있어선 시간보다 공간이 중요하다.
- 소설가들은 실제 인물을 모델로 쓰지 않는 척하길 좋아하지만, 누구나 실제로 그렇게 한다.
- 프루스트, 등장 인물의 입장에서 자신을 보는 방식을 배웠다.
---
그 외 몇가지들.
- 낭만주의에서 비롯된 그러한 천재 작가는 실재하지 않는다.
- 20세기와 21세기를 대표하는 소설가들은 인터뷰에서, 자신이 표현하고픈 것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을 때까지 자신의 글을 끊임없이 고쳐 썼다는 것을 누누이 강조한다.
- 작가가 해야 하는 것은 경험한 한정된 세계를 있는 그대로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, 자신이 경험한 세계를 바탕으로 어떤 무엇보다도 완전히 진실하고 새로운 세계를 만들어내야 한다. (사실 그 자체가 아닌 사실의 재현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