Book Review

[2016/02/21] 나는 프로그래머다_세번째 노트 (3부)

The uprooted 2016. 2. 21. 17:57
“임백준, 정도현, 김호광 - 나는 프로그래머다 / 3부 : 삶 (8~11장)"


[8장 - MS MVP가 프로그래머로 사는 법]

“액티브 X"

 - MS에서 개발한 기술. 원래 이름은 OLE(Object Linking and Embedding)
 - 문서와 다른 애플리케이션 간에 데이터를 동적으로 주고받을 수 있는 기술
 - 90년대 말 웹 브라우저의 한정된 기능을 강력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MS IE의 추가 확장 프로그램 규격
 - 현재는 각종 보안상의 문제로 MS기술에서 퇴출된 상태

“URL"

 - 스탠포드 머신러닝 온라인 강좌 (https://www.coursera.org/learn/machine-learning
 - MS 애저 클라우드 (http://azure.microsoft.com/)
 - 아마존 웹 서비스 (https://aws.amazon.com/)

[9장 - 여자 개발자라는 블루오션]

“여성 개발자가 왜 차별을 받아야 하는가"

 - We are equal opportunity employer, dedicated to a policy of non discrimination in employment on any basis including race, creed, color, age, sex, religion or national origin." 

 - IDE와 컴파일러는 우리가 여자인지 남자인지 조금도 신경 쓰지 않는다. 운영체제와 네트워크 카드도 마찬가지다. 컴퓨터는 우리가 남자인지 여자인지, 나이가 많은지 적은지, 종교를 믿는지 아닌지, 대학을 나왔는지, 고향이 어디인지 조금도 신경쓰지 않는다."

[10장 - 개발자와 영어, 뜨거운 애정 관계에 대하여]

스택오버플로우의 현지화"

 - 영어로 검색해도 나오는 내용을 굳이 한글화를 할 필요가 있을까
 - 그렇다면, 번역서도 모두 의미가 없는 것일까
 - 일본이나 포르투갈과 같이 스택오버플로우를 현지 언어로 재구성하려는 노력이 있고, 한국도 그런 노력이 있었으나 현재는 중단된 상태
 
[11장 - 절망에서 희망으로 SI 이노베이션]

소프트웨어 업계"

 - 서비스나 솔루션을 만들어내는 분야와 외주를 중심으로 일하는 SI(System Integration)

“프로젝트와 프로덕트"
 
 - 특정 시기에 진행되는 개발 과정에만 초점을 맞춘 것을 프로젝트라고 한다면, 끊임없이 변화와 개선을 반복하는 것이 프로덕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