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파리리뷰

[2014/11/16] 작가란 무엇인가 (4) 4번으로 나누어 읽은 작가란 무엇인가, 마지막. "파리 리뷰, 작가란 무엇인가 4" 10. 어떤 것보다 진실한 새로운 것 : 어니스트 헤밍웨이 - 자연주의적인, 또는 폭력적인 사건을 불필요한 수식을 배제하고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하드보일드 문학을 대표 - 서서 글을 쓴다. 처음부터 갖고 있던 글쓰는 습관이다. - 매우 견고하게 쓰인 글에 대해서는 무슨 말을 하더라도 아무 상관 없지만, 연약하게 쓰인 글은 만일 그것에 대해 말해버리면 그 구조가 깨져서 아무것도 남지 않게 된다. - 글쓰기는 끝날 때까지 어느 누구도 지켜볼 필요가 없는 개인적이고 외로운 작업 - '무기여 잘 있거라'의 마지막 쪽은 서른아홉 번이나 고치고 나서야 겨우 만족했다. - 살아남지 못하는 사람들은 항상 더 사랑을 받는다. 왜냐하면 그들.. 더보기
[2014/11/10] 작가란 무엇인가 (3) 출근 시간 이전 40분, 퇴근 시간 이후 40분 정도 읽고 정리. "파리 리뷰, 작가란 무엇인가 3" 7. 피할 수 없는 형식적인 원형 : 밀란 쿤데라 - 이 인터뷰는,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이 출간된 직후인 1984년에 이루어졌다. - 자신에 대해 얘기하는 걸 혐오하는 것이야말로 서정시적인 재능과 소설적 재능을 구별해주는 것이다. - 백과사전적, 실존에 빛을 비추기 위해서 모든 장치와 모든 형태의 지식을 함께 모아놓는 것 - 모든 위대한 작품은 (바로 그 위대함 때문에) 부분적으로 불완전하다. - 새로운 예술적 프로그램 1) 비본질적인 부분을 완전히 제거하기 (현대사회에서 구조적인 명증성을 잃지 않고도 실존의 복잡함을 잡아내기 위하여) 2) 소설적 대위법 (철학, 서사, 꿈을 하나의 음악으로 엮어.. 더보기
[2014/11/09] 작가란 무엇인가 (2) 지난 번에 이어지는 '작가란 무엇인가' 정리. 책 제목이 작가란 '누구인가' 가 아니라 '무엇인가' 가 된 이유가 궁금해졌다. 인터뷰 형식을 통했지만 특정 인물이 아닌 (작가가 아닌 다른 것들과 구분되는) 특정 '유형'으로서의 작가를 말하고 싶었기 때문일 것 같다. '작가'. 왠지 고집스럽게 느껴지면서도 동경을 품게 만드는 단어다. "파리 리뷰 인터뷰, 작가란 무엇인가 2" 4. 지식의 형태로서의 일화 : 폴 오스터 - 사실주의적 경향과 신비주의적인 전통, 멜로드라마적 요소와 명상적 요소가 혼재 - 뉴욕 3부작, '유리의 도시', '유령들', '잠겨 있는 방' - 보통 손으로 직접 글을 쓴다. - 소설에서 사용하는 삼인칭 화자의 목소리는 이상한 기법, 현실로부터 유리된 특징이 있다. - 소설 속에서 일어.. 더보기